티스토리 뷰
목차
오컬트 장르를 좋아하는가?
최근 넷플릭스에 오컬트 장르 영화로는 이례적으로 천만관객을 모은 장재현 감독의 <파묘>가 올라와있다.
꽤 오래도록 TOP10의 1위 영화로 올라와있는데 부모님과 봐도 무리없는 내용이고 꽤 흥미롭게 잘만들어져서 2번 3번 보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1위를 지키는 이유중 하나일듯.
이 작품의 감독인 장재현 감독은 아무래도 오컬트 장르에 진심인것같다.
오컬트
초자연적인 현상이나 악령, 영혼과의 교신, 점, 사후세계, 마술, 텔레파시, 미래 예지 등을 주내용으로 하는 영화 장르를 말한다. 여기서 오컬트(occult)는 라틴어 'occultus'에서 유래한 말로 '숨은, 신비스러운, 불가해한, 초자연적인'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대중문화에서 오컬트 장르는 이처럼 유령, 악마와 같은 초자연적 현상을 소재로 삼은 장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오컬트 영화로는 엑소시스트, 오멘, 컨저링, 미드소마 등이 있고 이 영화들은 악마를 숭배하는 사교집단과 기독교 집단의 대치를 그리는 경우가 많으며 심리분석과 형이상학적 소재를 통해 사람들에게 신비함과 공포감을 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오컬트 영화로는 1998년 퇴마록이 있고 아무래도 오컬트 장르의 지평을 열게 된 작품은 장재현 감독의 <검은사제들>이 있다. 나홍진 감독의 <곡성>을 들 수 있다. <검은 사제들>은 구마의식을 통해 여고생의 몸에 깃든 악령을 퇴치하려는 두 사제의 이야기를 그렸으며, <곡성>은 악령의 존재와 빙의라는 설정 안에 무당과 굿 등의 한국의 전통 무속신앙을 결합시켜 화제를 모았다. 이제 <파묘>는 한국에서 가장 성공한 오컬트 영화로 기록될 것이다.
파묘 내용
MZ 무당인 화림(김고은)과 봉길(이도현)은 이유모를 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박지용 일가를 만나기 위해 미국으로 향한다. 박지용의 집안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바탕으로 어마어마한 부를 축적한, 태어날 때부터 밑도 끝도 없이 부자인 사람들이라고 표현된다. 돈이 넘치게 많지만 귀하게 얻은 아기가 알 수 없는 병으로 고통을 받으니 최후의 선택으로 한국에서 무당을 부른것!
아기를 본 화림은 이 집안의 아들들, 즉 할아버지와 박지용 본인도 같은 증상을 보일 것이라 말하며 이 모든 원인이 조부의 그림자. 즉 산소탈이라고 하는 묫바람이 원인이라하며 이 영화는 시작된다.
한국에 돌아온 화림과 봉길은 풍수사 지관인 김상덕(최민식)과 장의사 고영근(유해진)을 만나 이 돈냄새가 물씬나는 파묘건을 함께 하기로 한다. 한국에 온 박지용과 함께 그의 조부 묘를 둘러본 상덕은 악지중에 악지이며 불길한 기운에 이를 거절하려 하나 화림의 대살굿과 함께 파묘를 하기로 하고 그 안에선 나오면 안되는 것들이 나왔다!
이 영화는
1. 음양오행
2.이름 없는 묘
3. 혼령
4. 동티
5.도깨비불
6.쇠말뚝
이렇게 6개의 소주제로 흘러간다. 파묘 후 조부의 혼령, 파묘에 참여한 일꾼에게 난 동티(금기시되어온 행위를 하여 귀신을 노하게 하였을 때 받는 재앙의 하나), 일본 도깨비인 오니의 등장, 호랑이의 허리를 끊은 쇠말뚝-
작품해석
파묘는 지금까지 본 한국 오컬트에서 보지 못한 소재들이 많이 나온다.
영화 속 파묘를 의뢰하는 박지용 일가는 조부가 크게 친일행각을 벌인 사람으로 나온다. 당시 지위가 높았을 조부가 왜 그런 악지에 묻혀 있는지, 그리고 그 거대한 관은 왜 세워진채로 첩장을 하였는지...일꾼이 삽으로 쳐낸 뱀은 왜 사람 얼굴이 있었는지,일본 장군 귀신, 은어와 참외의 의미...다양한 소재들이 나오는데 아무래도 일제의 배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다보니 일본의 무속적인 부분도 접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꾼 창민이 파묘 후 흙에서 나온 뱀을 삽으로 쳐서 죽였는데 그 뱀의 머리가 여자의 얼굴인 기괴한 장면이 있다. 이는 일본의 요괴 중 '누레온나'라는 일본 요괴이다. 누레온나는 바다, 강에서 나타나며 사람을 해치는 요괴로 땅속의 뱀은 쇠말뚝을 지키는 역할을 한다. 일본 장군의 몸에 칼을 넣어 한반도의 허리를 끊을 목적으로 그 관을 세로로 박아 넣은 후 그 위에 친일파의 묘를 얹어 눈속임을 한것이다. 이를 누레온나로 한번 더 일본 장군(그가 몸에 품고 있는 쇠)을 보호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일본장군이 말하는 은어와 참외의 의미는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참외를 좋아하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 vs 은어가 특산물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서군 즉 일본 장군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서군이라 은어를 찾았다는 해석이 있다.
영화는 이렇게 다양한 소재와 상황으로 극의 전반적인 흐름에 긴장을 놓지 않는다.
또한 주조연할것 없이 모든 배우들의 연기가 뛰어나서 보통 이런 류의 영화는 예고편이 다인 경우가 많은데 파묘는 2시간이 넘는 시간을 흐트러짐없이 꽉 채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