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드라마, 스릴러, 디스토피아 소설의 요소가 결합된 2023년 개봉한 영화이다.
엄태화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 독특한 스토리와 탄탄한 연기, 생각을 자극하는 주제로 주목을 받아왔다.
먼저 이 영화를 부모님과 볼만한 영화로 추천하는 이유는 영화가 어렵지 않지만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주제이고, 부모님과 본다고 해서 꼭 역사물, 근현대사물, 뻔한 클리셰의 감동물만 봐야 하는건 아니지 않을까 싶어서다.
조금은 어두운 분위기의 영화지만 위기에 처했을때 다양한 인간의 군상을 볼 수 있으니 부모님과 조금은 색다른 장르의 영화를 즐겨보자.
줄거리
“아파트는 주민의 것”
온 세상을 집어삼킨 대지진, 그리고 하루아침에 폐허가 된 서울. 모든 것이 무너졌지만 오직 황궁 아파트만은 그대로다. 소문을 들은 외부 생존자들이 황궁 아파트로 몰려들자 위협을 느끼기 시작하는 입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하나가 되어 새로운 주민 대표 ‘영탁’을 중심으로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막아선 채 아파트 주민만을 위한 새로운 규칙을 만든다.
덕분에 지옥 같은 바깥 세상과 달리 주민들에겐 더 없이 안전하고 평화로운 유토피아 황궁 아파트.
하지만 끝이 없는 생존의 위기 속 그들 사이에서도 예상치 못한 갈등은 계속 쌓인다. 살아남은 자들의 생존 규칙 따르거나 떠나거나-
출연진
이병헌 : 영탁 역
비밀이 있는 사람으로 아파트를 지키기 위해 몸을 사리지 않는 모습에 얼떨결에 아파트 대표가 되어 궂은 일에 앞장선다. 누구보다 아파트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다.
박서준 : 민성 역
명화의 남편으로 평범한 사람이다. 유일한 가족인 명화와 단둘이 생존할 수 있다면 양심을 버리는 행동도 기꺼이 할만큼 영탁의 신뢰를 얻으려 노력한다. 시간이 지날 수록 모순되는 상황과 갈등에 그의 억지로 붙잡고 있던 신념조차 무너져내린다.
박보영 : 명화 역
민성의 아내로 그녀 역시 평범한 사람이다. 민성과 다른점은 명화는 그룹내에서 잘 어우러지면서 융화를 원하는 사람이지만 주민내의 갈등과 인간애 상실에 물음표를 던지며 끊임없이 이의를 제기한다.
김선영 : 금애 역
대지진으로 세상이 망한 상황에도 아파트 부녀회장임을 내세우며 그 안에서도 특정 권위를 얻고자 하나 정말 필요하고 궂은 일엔 본인은 빠지면서 누군가로 몰아가는 분위기를 만드는 이기적인 사람이다.
영화 속 소재별 해석
대지진
대규모 재난 직후를 다루는지라 말그대로 꿈도 희망도 없는 포스트 아포칼립스물중에서도 끝판왕 수준의 암울한 설정으로 시작한다. 본 작품의 시발점이 되는 대재해. 단순히 땅이 흔들리고 갈라지는 수준이 아니라, 마치 하나의 파도처럼 지표면이 통째로 들렸다가 가라앉는 수준으로 묘사된다. 영화에선 서울 상황만 나오고 타 지역이나 한국 밖 다른 나라들의 상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아파트 주민말로는 헬기나 비행기 하나 뜨는 걸 보지 못했다는 사실을 보면 한반도 전체가 멸망했거나 인류 문명이 붕괴한 듯하다.
황궁아파트 103동
대지진이 후 모든 건물이 붕괴된 가운데 유일하게 멀쩡한 아파트로 이 영화의 주요 장소로 이 곳을 두고 아파트 주민들과 외부인들의 싸움이 계속된다. 특히 이 아파트는 서울에서도 오래된 복도식 구축 아파트라 자가라면 평범한 중산층 임대라면 중산층 이하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을 것이다. 초반에 황궁아파트 옆 단지인 드림팰리스 주민들이 도와달라고 할때 황궁 아파트 주민들이 배척을 하는데 그 이유는 대지진전 드림팰리스 주민들은 황궁아파트 주민들을 단지에 발도 못들이게 하고 학군도 섞이지 못하게 철저한 무시를 해왔기때문이다.
황도, 번데기 통조림
영화 속에서 특권이나 이권을 상징하는 매개체로 몇 차례나 몇 명 못 받은 거라고 언급된다. 극중에서 민성은 슈퍼마켓을 털고 나서 지급받게 되는데 슈퍼마켓에서의 사건 이후로 진정한 특권층으로 공인받았다는 의미로 보인다. 그리고 이 번데기 통조림은 명화가 숨어 살던 생존자들과 나눠 먹게 되는데, 이 시점에 영탁이 난입하여 영탁 본인이 국물까지 모두 먹는 묘사가 꽤 공들여서 연출됐다. 이는 자신의 특권이나 이권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를 싫어하는 특권층을 상징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론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가까운 미래의 제목과는 다르게 디스토피아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붕괴된 사회에서 생존자들의 삶을 따라가는 영화이다. 생존자들은 삶을 재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도덕적 딜레마, 권력 투쟁, 외부 위험의 끊임없는 위협에 직면한다. 영화는 인간 심리학을 깊이 파고들어 극단적인 상황이 어떻게 사람들에게 최고의 결과와 최악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탐구한다.
심오한 내용과 주제같지만 인간 모두의 추악한 본성과 지키고 싶은 양심과 그 안에서 뭍어 가고 싶은 군중심리를 보면 모든건 매일 뉴스에 나오는 주제들이다. 우리 부모님들이 뉴스 하나는 정말 잘 보지 않나-
나는 엄마랑 착한 영화만 보는 것이 지겹다.
잔인한거 거르고, 야한거 거르고, 지나친 작품주의 거르고, 자막 빠르게 읽어야 하는것 거르고, 세계관이니 뭐니 설명해야하는거 거르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무너지지 않고 서 있을 것이다. 추천!